High blood pressure·Diabetes
고혈압·당뇨 및 임신성당뇨
고혈압·당뇨 및
임신성당뇨
임신성당뇨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고혈압 및 당뇨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여러 원인에 의해
혈압이 높아진 상태, 고혈압
과로, 과식, 스트레스, 과도한 성생활, 몸 안에 정체해있는 노폐물 등은
자율신경에 나쁜 영향을 미쳐 교감신경을 긴장시키며 긴장된 교감신경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이 일정수준 이상 (최고혈압 140, 최저혈압 90 이상)
올라가게 하는데 이를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자율신경에 나쁜 영향을 미쳐 교감신경을 긴장시키며 긴장된 교감신경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이 일정수준 이상 (최고혈압 140, 최저혈압 90 이상)
올라가게 하는데 이를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과로, 과식, 스트레스, 과도한 성생활, 몸 안에 정체해있는
노폐물 등은 자율신경에 나쁜 영향을 미쳐 교감신경을
긴장시키며 긴장된 교감신경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이 일정수준 이상 (최고혈압 140, 최저혈압 90 이상)
올라가게 하는데 이를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노폐물 등은 자율신경에 나쁜 영향을 미쳐 교감신경을
긴장시키며 긴장된 교감신경은 혈관을 수축시켜
혈압이 일정수준 이상 (최고혈압 140, 최저혈압 90 이상)
올라가게 하는데 이를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인슐린의 기능 저하로 인한
대사질환, 당뇨병
당뇨병이란 혈당의 조절에 필요한 인슐린의 분비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된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입니다.
당뇨병, 그 자체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나, "합병증과 평생 관리로 인한 불편함,
과도한 치료비"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입니다.
당뇨병, 그 자체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나, "합병증과 평생 관리로 인한 불편함,
과도한 치료비"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당뇨병이란 혈당의 조절에 필요한 인슐린의 분비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된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입니다.
당뇨병, 그 자체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나,
"합병증과 평생 관리로 인한 불편함, 과도한 치료비"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된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대사성 질환입니다.
당뇨병, 그 자체는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은 아니나,
"합병증과 평생 관리로 인한 불편함, 과도한 치료비"로 인해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임신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질환, 임신성당뇨
임신성 당뇨병이란 임신 전에는 진단이 되지 않아 당뇨병인지 몰랐던 경우를 포함하여
임신 중에 갑자기 혈당 조절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의미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률은 임산부 0.15~15%로 나라와 지역마다 다른데
우리나라는 약 2~4%로 100명 중 3명은 임신성 당뇨병에 해당됩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태아의 선천성 기형, 주산기 사망률의 증가 등으로
임산부와 태아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신 중에 갑자기 혈당 조절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의미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률은 임산부 0.15~15%로 나라와 지역마다 다른데
우리나라는 약 2~4%로 100명 중 3명은 임신성 당뇨병에 해당됩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태아의 선천성 기형, 주산기 사망률의 증가 등으로
임산부와 태아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이란 임신 전에는 진단이 되지 않아
당뇨병인지 몰랐던 경우를 포함하여 임신 중에 갑자기
혈당 조절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의미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률은 임산부 0.15~15%로
나라와 지역마다 다른데 우리나라는 약 2~4%로
100명 중 3명은 임신성 당뇨병에 해당됩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태아의 선천성 기형, 주산기 사망률의
증가 등으로 임산부와 태아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뇨병인지 몰랐던 경우를 포함하여 임신 중에 갑자기
혈당 조절에 이상이 생긴 상태를 의미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률은 임산부 0.15~15%로
나라와 지역마다 다른데 우리나라는 약 2~4%로
100명 중 3명은 임신성 당뇨병에 해당됩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태아의 선천성 기형, 주산기 사망률의
증가 등으로 임산부와 태아에게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해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임신성 당뇨병의 고위험군
임신 이전부터 비만한 경우
(체질량 지수≥30kg/m²)
(체질량 지수≥30kg/m²)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경우
있는 경우
지난 임신 때 당뇨병이
있었던 경우
있었던 경우
4kg 이상의 거대아 분만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과거력이 있는 경우
뚜렷한 이유 없이 사산, 조산,
유산 등의 경험이 있는 경우
유산 등의 경험이 있는 경우
뚜렷한 이유 없이
사산, 조산, 유산 등의
경험이 있는 경우
사산, 조산, 유산 등의
경험이 있는 경우
임산부의 나이가
26세 이상인 경우
26세 이상인 경우
공복 시 혈당, 혹은 임신 초기 혈당이
140mg/dl 초과인 경우
140mg/dl 초과인 경우
공복 시 혈당,
혹은 임신 초기 혈당이
140mg/dl 초과인 경우
혹은 임신 초기 혈당이
140mg/dl 초과인 경우
[ 임신성당뇨병에 의한 신생아 합병증 ]
신생아 합병증 | 발병률 |
---|---|
거대아(체중이 4.5kg 이상) | 22~62% |
신생아 저혈당 | 13~47% |
신생아 황달 | 15~30% |
호흡 곤란증 | 5~10% |
홍반증 | 3~10% |
[ 임신성 당뇨병 진단 기준 ]
검사방법 | 100g 경구당부하 검사 | 75g 경구당부하 검사 |
---|---|---|
공복 시 혈당 | 95mg/dl | 92mg/dl |
1시간 혈당 | 180mg/dl | 180mg/dl |
2시간 혈당 | 155mg/dl | 153mg/dl |
3시간 혈당 | 140mg/dl |
* 100g 경구당부하검사 : 기준에서 최소 2개 이상이 비정상으로 나올 경우
* 75g 경구당부하검사 : 기준에서 최소 1개 이상이 비정상으로 나올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
* 75g 경구당부하검사 : 기준에서 최소 1개 이상이 비정상으로 나올 경우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